상단메뉴배경
  • 컨설팅 영역
  • 선거운동전략
Campaign strategy
선거운동전략

누구에게나 기회는 동등하게 주어지지만, 성공으로 이끌기엔 복잡한 요소가 많습니다.

知彼知己
모든 선거전략의 초석은 후보자 자신의 세밀한 분석에서 시작됩니다.

선거를 어떻게 치러야 하는가?

  • 1. 공천 방법은 어느 것이 유리한가?
  • 2. 지역·후보자·경쟁자 분석은?
  • 3. 나의 경쟁력은?
  • 4. 선거법이 정한 조직 구성은?
  • 5. 언제부터 조직을 구성해야 하는가?
  • 6. 선거공약은?
  • 7. 예비후보자 홍보물/후보자 선거공보물, 벽보 제작은?
  • 8. 선거사무소 확보는?
  • 9. 인지도 상승은 어떻게?
  • 10. 유세차량, 피켓 등 소품 활용은?
  • 11. 음해세력들의 견제는?
  • 등.

여러 단계별 구성은 어떻게 진행을 하며, 상대 후보자의 전략을 어떻게 간파할 것인가?, 그리고 후보자 본인은 유권자를 어떻게
자신의 지지자로 선회시킬 것이며, 인지도를 높일 것인가? 등 시작 단계부터 출마자는 불안에 휩싸이게 됩니다.

정치대학원 출신이 풀어가는 최적의 선거전략!

1. Band wagon Effect
2. Coattail Effect
3. Incumbency Effect
4. Halo Effect
5. 선인지 효과
대책?
시작부터 끝까지 곳곳에 산재해 있는 여러 지역문제들…
E&P 전략 연구소에서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후보자가 안심하고 유권자를 만나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선거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에 맞는 기획을 하여 당선될 수 있도록 곁에서 조력하겠습니다.

선거전략 사례 1.

선거전략 사례 2. 타기획사 가 시행한 선거전략 실패 사례


분석 : 선거운동에서 선관위가 가장 주의깊게 살피는 것이 금품수수관계입니다. 이 사건은 당선자측의 기자회견 대응에 실패한 전략으로써, 그 당시 후보자 선거운동과는 무관하게 시골의 정(情)문화에 20만원을 건넨 것이지 채권·채무관계가 아닌것입니다. 이때는 선관위에 사전선거운동이 아닌, 지역문화의 의례적인 행동이었다고 강조했다면 큰 문제가 없었을 것입니다.

경선전략

같은 당의 여러 예비후보자간 경선을 통해 정당후보자 선출

본선전략

전제조건
정당 후보자로 본선에 진출하였다면,
1. 당내 후보자 간 지지표 경쟁
2. 지지율 15% or 10%에 따라 선거보전금의 차이
3. TS(Ticket Splitter)에 따라 표 등락 존재

열심히 했다지만, 15% or 10% 부족
선거운동 전략에 문제 有